구글이 최신 AI 모델인 Gemini 2.0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버전은 Gemini 2.0 Flash Experimental로 공개되어 현재 웹 채팅 앱에서 사용이 가능하며(지금 바로 Gemini에 웹브라우저로 접속해보세요), 구글의 AI Studio 및 Vertex AI의 Gemini API를 통해 Preview로 제공됩니다. 이번 모델은 멀티모달 기능과 AI 에이전트로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전 버전과 비교해서 성능과 응답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는데요. 단순히 텍스트 생성을 넘어, 주변환경을 인지하고 상호작용하며,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에이전트로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이야기하네요. 

 

 

Gemini 2.0의 주요 특징

 

향상된 멀티모달 기능 : 네이티브 이미지 및 오디오 생성 기능을 통해 더욱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잡한 명령 수행, 긴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다국어 음성 생성 등의 작업을 지원하면서 네이티브 도구 사용도 가능해졌습니다. 

 

 

Native 이미지 출력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콘텐츠 생성이 손쉬워 졌습니다. (Google)

 

에이전트 중심 설계 : 멀티모달 기능의 AI 모델을 가장 먼저 선보인 Gemini의 목표처럼, Gemini 2.0은 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사용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스스로 판단가능한 '지능형 에이전트'로서의 역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기능들을 통해서 에이전트를 구현한다고 하는데요. 

 

① 계획 및 실행 능력 :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고급 추론 및 멀티 스텝의 문제 해결능력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내일 아침 7시에 깨워줘"라는 요청에 단순히 알람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일정을 확인하고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기상시간을 제안할 수도 있습니다. 

 

② 환경 인식 및 상호작용 : 다양한 멀티모달 입력과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주변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데, 이는 로봇 공학, 자율주행, 스마트 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기반 기술입니다.

 

③ 지속적인 학습 및 개선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성능을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개별적인 니즈에 맞춰 더욱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구글에 따르면 Gemini Flash 2.0은 이전 모델인 Gemini 1.5 Pro 보다 두 배 빠른 실행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벤치마크에서 Anthropic의 Sonnet과 거의 동일한 성능이지만 훨씬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거기에 .2.0 Flash는 이제 텍스트 및 조정 가능한 텍스트 음성 변환(TTS) 다국어 오디오와 혼합된 기본 생성 이미지와 같은 멀티모달 출력을 지원합니다. 또한 Google Search, 코드 실행 및 타사 사용자 정의 함수와 같은 도구를 기본적으로 호출할 수 있습니다.

 

기존 1.5모델의 성능을 가뿐히 뛰어 넘었는데, 이 정도면 쉬어가도 되지 않을까? (Google)

 

 

특히, 개발자를 위해 구글에서는 Gemini 2.0을 Android Studio, Chrome DevTools를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에 통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Gemini Code Assist를 통한 향상된 코딩 지원도 Visual Studio Code와 IntelliJ, PyCharm과 같은 인기있는 IDE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고 합니다. (대환영!)

 

 


에이전트형 AI 모델 서비스 개발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

 

 

① 프로젝트 아스트라 (Astra) : 현실 세계에서 멀티 모달 이해를 사용하는 에이전트

 

  Gemini 발표 초기에 가장 먼저 발표된 프로젝트로 구글 렌즈와 같은 기능으로 다양한 제품에 통합될 것으로 예상되는 AI 에이전트입니다. Gemini 앱과 구글 제품과 글래스같은 다른 폼팩터에 통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하며, 여러 개발그룹에게 프로젝트 아스트라를 테스트 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시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더 나은 대화: Project Astra는 이제 여러 언어와 혼합 언어로 대화할 수 있으며 억양과 흔하지 않은 단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도구 사용: Gemini 2.0을 통해 Project Astra는 Google 검색, 렌즈 및 지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상 생활에서 도우미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 나은 메모리: Project Astra의 제어력을 유지하면서 사물을 기억하는 능력을 개선했습니다. 이제 최대 10분의 세션 내 메모리가 있으며 과거에 나눈 더 많은 대화를 기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 잘 개인화됩니다.

 

향상된 대기 시간: 새로운 스트리밍 기능과 기본 오디오 이해를 통해 에이전트는 인간 대화의 대기 시간 정도에서 언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hIIlJt8JERI

런던 시내를 프로젝트 아스트라와 돌아다녀 보기 (Google)

 

 

② 프로젝트 마리너(Mariner) : 복잡한 작업 수행에 도움이 되는 에이전트

 

프로젝트 마리너는 Gemini 2.0으로 구축된 초기 연구 프로토타입으로, 브라우저를 통해 인간과 에이전트의 상호작용을 탐구합니다. 이미지 및 텍스트를 포함한 웹 요소 등의 화면 정보를 이해하고 추론한 다음 실험용 크롬 익스텐션을 통해 해당 정보를 사용해 작업에 사용하는 에이전트 입니다.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 환경에서 여러 작업을 도와주는 어시스턴트 기능을 제공하지만, 브라우저의 활성화된 탭에서 입력, 스크롤 또는 클릭만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안하고, 구매와 같이 민감한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사용자의 최종 확인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마리너를 이용해 복잡한 작업 수행해보기 (Google)

 

 

③ 프로젝트 쥴스 (Jules) : 개발자를 위한 에이전트

 

GitHub 워크플로에 직접 통합되는 실험적인 AI 기반 코드 에이전트인 Jules가 있습니다. Jules를 이용하면 AI 에이전트가 개발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개발자의 지시와 감독하에 이뤄집니다. 

 

Jules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생산성 향상 : 비동기 개발의 효율성을 위해 발생하는 문제 분석과 코딩 작업을 Jules에 할당합니다.

 

진행 상황 추적 : 실시간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주의가 필요한 작업의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완전한 개발자 통제 : Jules가 세운 계획을 검토하고,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조정이 가능합니다. Jules가 작성한 코드를 쉽게 검토하고, 프로젝트에 병합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Jules는 엄선된 개발 그룹을 통해 테스트를 진행중이며, 2025년초에는 여러 개발자들이 신청할 수 있도록 labs.google.com/jules를 통해 업데이트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Jules를 이용하면 개발 Task를 AI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Google)

 

 

 

이외에도 화면 콘텐츠를 분석하여 플레이어에게 실시간 게임 전략을 제공하는 Gemini 2.0 에이전트라거나, 이를 응용한 로봇 공학 분야에서도 향상된 공간 추론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도 계획하고 있다고 하니 Gemini 2.0의 발전 방향이 역시 구글스럽긴 하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Gemini 2.0의 발표 덕분인지 오늘 하루만에 구글 알파벳 주가는 5.46%가 상승한 196.7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까지 GPT-4 Pro와 Gemini 2.0의 경쟁은 사용자 측면에서 재미있는 한 판이 될 것 같습니다. 

 

> 출처 : Google introduces Gemini 2.0: A new AI model for the agentic era

The next chapter of the Gemini era for developers - Google Developers Blog



Posted by 나모군
나에게 주는 선물2020. 1. 26. 11:51

 

밀포드 트랙은 세계 10대 트레킹으로 알려져 있고, 세계적으로도 특이한 피오르드 지형안에 위치하고 있다.

 

최근 하이킹과 트레킹 열풍이 사그러들기는 했지만, 오히려 매니아층은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외국 트레킹 코스에 가보니 한국분들이 정말 많으셨어요. 특히, 외국에 처음 트레킹 나오신 분들은 우리나라 험한 산들에 비하면 아주 손쉽게 다녀왔다고 말씀하시더군요. 하긴 우리나라 산들이 작은데 험하긴 합니다. 외국처럼 시간을 두고 오르는 코스로 만들어져 있지 않기도 하구요.

 

오늘 소개드릴 건 제가 이번 주에 다녀온 밀포드 트래킹에 대한 소개입니다.

 

밀포드 트래킹을 신청하는 2가지 방법과 그 차이에 대해 설명드리고, 다음 번에는 밀포드 트래킹의 각 일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 주의 하실 점이라면 밀포트 트래킹을 다녀오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바로 가이드(Guided Walk)가 동행하는 50명이 그룹이 되어 출발하는 매우 럭셔리한 트래킹이 있고, 다른 하나는 각자 알아서(Independent Walk) 신청하는 40명 정원의 트래킹 유경험자들을 위한 트래킹이 있습니다. 저는 가이드 트래킹을 다녀와서, 그걸 중심으로 설명드립니다.

 

가이드 트래킹은 밀포드와 루터번 등 뉴질랜드 주요 트래킹코스의 사업자로 되어있는 얼티밋 하이크(Ultimate Hikes)를 통해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한국어 바로가기  ) 만약,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산장이나 휴양림 이용하듯이 트래킹을 하고 싶으신 분은 뉴질랜드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 산장(Hut)을 이용하는 걸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의하실 점은 1일 입장 인원이 총 90명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자연보호 때문이라지만, 알고 보면 시설 수용 인원도 매우 적습니다.), 1년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예약 자체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습니다. 그리고, 비용도 만만치 않구요. 개인 신청의 경우에도 40만원 정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해보진 못했어요. 아예 예약 자체가 안되니...) 그리고, 이 예약을 대행해주고 커미션을 받는 업체가 있을 정도입니다. 아래 보시면 아시겠지만 3개의 산장에서 묵게 되는데, 취사도구를 다 들고, 갈아입을 옷도 가져가야 합니다. 온수는 제공되지 않으니 알아서~~ 그리고, 그 모든 짐을 다 들고 가야 하기 때문에 만만치는 않은 일정입니다.

 

 

개인 하이킹의 경우에는 Hut에서 묵는데, 시설이 매우 열악하고, 3일 코스로 가야해서 부담된다.

 

 

 

 

그렇지만 가이드 트래킹은 완전히 다른 세상입니다. 물론 가격부터 비싸고, 이것도 예약이 그리 쉽진 않습니다.

 

제 경우에는 $2,130부터 시작하는 가이드 트래킹을 다녀왔습니다. 저는 기억에 2,500불 정도를 지불했던 것 같네요. 트래킹 가격은 시즌마다 조금씩 다른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화장실과 따뜻한 물이 나오고, 최대 4~6인실을 제외하고, 개인룸도 제공합니다. 저는 다인실을 이용했는데, 1층 침대를 3명씩, 1인실을 사용하니 염려마세요. 2층에 올라갈 일은 없습니다. 

 

 

 

가격이 엄청 비싼데도 대부분 Sold out이 많습니다. 대신,  다인실은 여유가 있는 편입니다.

 

 

가이드 트래킹의 좋은 점은 먼저 개인실(Private Rooms)을 이용하면 개인 샤워실과 화장실이 제공되고, 전원충전 콘센트도 방안에 있습니다. 보통 외국인 중노년층 부부들이 많이 오십니다. 특히, 60살 생일이나 결혼기념일 축하하러, 그리고 커플들도 꽤 오구요. 한국은 가족 단위의 중장년층이 많으세요. 그래서 그런지 개인실이 인기가 많습니다.

 

더구나 따뜻한 물로 매일 샤워할 수 있고, 수건과 바디샴푸 등이 제공되며, 개인옷과 등산화 등도 세척해서 열풍 건조할 수 있는 건조실도 제공이 됩니다. 2개 건조실이 제공되는데 1개는 옷을 위한 열풍, 1개는 고어텍스나 등산화 등 접착된 부분이 떨어지거나 강한 열에 손상이 될 수 있는 걸 방지하는 Cold건조(실은 따뜻한데 그렇게 부르는)실이 제공됩니다. 그러니, 속옷이나 양말 등은 적어도 2세트만 들고 오셔도 되고, 여유분으로 1개 정도만 가져오셔도 됩니다. 적은 배낭짐만 챙겨도(아시겠지만 수건 2개와 젖은 빨래만 줄여도 배낭 무게가 얼마나 주는지 아시죠?), 트래킹은 훨씬 쾌적하고 편리해집니다. 

 

그리고, 트래킹 코스 중간 휴식처마다 차와 간식이 제공되며(과일은 무제한), 저녁마다 근사한 코스요리를 3개 메뉴 중에 선택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Lodge라고 불리는 숙소에서는 와인과 시원한 맥주, 음료도 원하는 만큼 사서 마실 수 있어요. (얼음은 제공되지 않지만) 그리고, 제가 남섬 호텔 여러곳을 묵어봤지만, 가격도 1~5불 정도 더 저렴하니 부담없이 시켜서 드시면 됩니다. (드신 주류는 마지막날 정산하시면 됩니다.)

 

 

 

밀포트 트래킹 1일차에 먹었던 사슴 고기 요리, 스타터-메인-디저트의 코스요리가 매일 저녁 제공됩니다.

 

 

왠지 홍보해주는 것 같지만, 가이드 트래킹은 퀸스타운에서 티아나우, 그리고 돌아오는 교통편까지 모든 편의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등산배낭과 우비, 침대시트(다인실인 경우) 등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등산 스틱도 유료로 대여해줍니다. 보통 4명의 전문가이드가 밀착 지원을 해드리니(저같은 경우에 무릎이 안좋으니까 테이핑도 해주고, 다른 분은 물집 잡힌 곳에 하이드로젤을 붙여주더군요) 아주 편안하게 트래킹에 집중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밀포드 트래킹 신청 방법과 가격, 특히, 가이드 트래킹에 대해서 소개 드렸습니다.

 

다음에는 밀포드 트래킹의 1일 단위의 일정으로 후기를 포함한 내용을 공유드릴게요. 



Posted by 나모군

 



Posted by 나모군

제 영문 이름이 Andrew (Andy) 인 것은 안비밀입니다. -_-;






Posted by 나모군




Posted by 나모군

많은 초등학생 이하의 아이를 둔 아빠들... 

아이들과 놀아주기 쉽지 않습니다. 


아이들과 몸을 이용한 놀이를 해주는 것이 아빠의 교육적 역할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아빠는 집에 와서 "몸을 움직이는 것"을 싫어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그림을 그리며 놀기"라는 주제는 정말 싫습니다.

(그림을 못그리는 이유는 솔직히 둘째고, 준비할 것도 많다고 생각하니까요.)


그렇지만, 그림으로 아이와 놀아주기는 


1. 필기구 

  - 연필, 색연필, 볼펜... 아무거나 상관없음

  - 단 크레파스는 지양하세요. 생각보다 어른이 되고 나면 크레파스가 어렵습니다. (해보시면 알겁니다.)

    크레파스는 아이들과 놀이가 끝난 후에 색칠하는 용도로 쓰게 하세요.

  - 연필/색연필은 아주 환영합니다. 볼펜류는 다루기가 어려우니 나중에 하시는게 좋아요.


2. 종이

  - A4지도 좋습니다만, 아이가 어릴수록 큰 종이가 좋습니다. 

  - 이왕이면, 달력이나 버려진 큰 종이를 활용하도록 하면, 아이가 종이를 아껴써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걸로 끝입니다. 


중요한 건, 내가 그림을 그리며 아이와 놀아주는 행위 자체가 중요합니다. 


아빠가 아무리 못그려도 초등학생 수준과 비슷한 정도지, 그 이하의 아빠는 거의 없으실 겁니다.


다음번에 더 체계적인 내용을 보여드리겠습니다만... 우선 맛보기로 한 번 해보죠.




1. 원을 그려서... 변형하여 그림 그리기

  - 원은 푸근한 이미지의 귀여운 그림을 그릴 때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 원을 이용하면 곰돌이나 푸우(아.. 이게 곰이지), 사람을 친근하게 그릴 수 있습니다.

    (솔직히 아빠들에게 가장 권하는 연습은 동그라미를 둥글게 그리기 입니다. 이것만 잘해도 그림의 절반은 완성입니다. 아빠들이 못하는 것 중의 하나가 원그리기에요. 마음이 삐뚤어져서 그런겁니다.)



- 이 동그라미로 만들 수 있는 그림은 무궁무진 합니다. (솔직히 잘 그려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 아이들은 아빠와 같이 무언가 행위를 같이 하는 자체만으로도 동질감을 느끼고, 동료애(?)를 느낍니다.

- 아빠가 그림을 너무 잘그리면, "아빠는 잘하잖아. 아빠가 그려줘"가 됩니다. 아빠나 나나... 거기서 거기고, 서로의 그림을 보면서 재미있어 하는 것이 더 효과가 좋습니다. (아빠가 그림을 못그려도 인기 만점입니다.)


이렇게 그리는 것이 어렵다? 대충 그려도... 그림을 그리다가 틀려도... 맘대로 다시 이어서 그려보세요.





2. 세모로 그림그리기

  - 세모는 원숭이나 여우, 무슨 동물이 되었든.. "얍삽하고 똑똑한" 이미지의 느낌을 줍니다.

    (한 번 위의 아내를 "세모"로 그려보시면 무슨 말인지 아실겁니다. ㅋ)

  - 세모를 위로 뾰족하게 그리는 것도 좋지만, 세모를 뒤집어서 그려야 동물그리기에 편합니다. (더 얍삽해 보이구요.)



 - 눈그리기가 어려우면 작대기 하나, 쩜 하나로 모든 걸 해결 가능하니 너무 어려워 하지 마세요.

 - 그리고, 그림 그리다가 선하나 삐뚤어졌다고 실망하지 마십시오. 실패한 그림은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상상력이 부족해서 망친 그림입니다. 

  - 아이들은 그림 망쳤다고 찢지 않습니다. 아이들 앞에서도 잘못 그렸다면서 구겨서 버리지 마세요. 제일 피해야 하는 행위가 그런 겁니다. 무엇이든 그림 그릴 때에는 칭찬하시고, 자기 그림도 자화자찬하세요. "아빠가 너무 못그렸지?" (X), "아빠, 너무 잘그리지 않니?" (O)




- 물론.. 이 세모도 변형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사자는 솔직히 사자탈을 쓴 양 같네요. (이솝 우화처럼 써먹으셔도 됩니다.)




다음번에 시간이 되면, 아빠들을 위한 그림 그리기 팁(Tip) 시리즈를 한 번

블로깅 해봐야겠습니다. ㅋㅋ.. (사업이 너무 바빠서.. ㅠㅠ)




Posted by 나모군

  가트너에서 최근에 나온 리포트 중에서 살펴보면 빅데이터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 좋겠다는 방향의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관련 내용 보기


  가트너의 이야기는 분명히 기업에 있어 빅데이터라는 것이 분명히 의미있는 부분도 있지만, 높았던 기대치만큼의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바닥까지 떨어진 상태에 도달했다는 의미입니다.


Gartner Hype Cycle: Where is Big Data Now?


  한마디로 최신 기술의 라이프사이클을 보여주는 위 그래프에서 가장 높았던 기대(Peak of inflated Expectations)의 시점을 지나 과대포장된 껍질을 벗고 저평가지점(Trough of Disillusionment)에 다다랐다고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 이야기는 빅데이터에 대해 어떤 시장과 기술의 이야기에 대한 것이라도 상당히 의미가 있는 내용입니다.


   2012년에 들어서면서 빅데이터가 공공이나 제조분야에서 널리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생산성이나 공공재 측면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다는 점이 각종 컨퍼런스나 데이터 분석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강조되어 왔습니다. 그런데, 실제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여 매출이 크게 늘었다거나,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명확한 근거나 시장의 변화는 감지되지 않았다는 점이 가장 큰 실망을 안겼고, 기술 시장에서의 기대치는 그림처럼 하향곡선을 그릴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코카콜라나 미국 연방정부의 데이터 활용사례들을 성공적으로 언급하기도 하지만, 빅데이터는 자연어 분석 기술이나 하둡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그 데이터의 규모와 연속성 사이에서 전문가들은 유의미한 것들은 이미 건져낼만큼 건져냈기 때문에 한마디로 "건더기는 이미 누군가 다 집어간 국물에 낚시를 하고 있는 셈"인 빅데이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 빅데이터 관련 컨퍼런스에 한 번이라도 가보신 분이라면 정말 빅데이터라는 것이 실체가 있는 것인지, 과감히 투자를 하고 싶거나 이에 대한 프로젝트를 계획이라도 세워보고 싶으셨을지 묻고 싶을 정도입니다.


  빅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열거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첫째, 데이터는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도가 기본입니다. 우리가 주장하는 빅데이터의 1번 사례로 꼽히는 SNS(소셜네트워크)는 데이터 자체가 단어가 언급되었다고 하여 호감이나 비호감, 긍정이나 부정을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이모티콘과 감정적인 언어가 많은 경우엔 더더욱 어렵습니다. (그래서, 소셜네트워크 상의 정치관련 이슈는 언급된 횟수만을 집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빅데이터의 데이터 자체부터가 수집대상으로서 적절한지가 의심이 됩니다. 둘째, 빅데이터를 모아봐야 꿰어야 보배라는 점입니다. 데이터를 모아두고 어떤 아키텍쳐에 구겨넣느냐하는 것은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아무리 초고속의 자동차를 개발해도 제대로 운전할 줄 모르면 소용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빅데이터를 모아도 그것의 연관성들을 분석하고 찾아낼 수 있는 제대로 된 데이터 분석가가 없고, 이것을 알고리즘이나 방정식으로 만들어 낼 만한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죠. 


 

  이 두가지 문제만 가지더라도 기업에 있어 빅데이터라는 것이 "우주를 바라보는 원시인이, 우주를 볼 수만 있으면 이해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는 관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주목해서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 이제 기업의 CIO들도 최신기술이라고 하여 투자하지는 않죠. 기업을 납득시키려면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주어야 하고, 그것이 엔지니어의 기술이 이야기 해야 할 대목입니다.



Posted by 나모군




  지난 10월 15일, LG U+와 Google이 전략적인 제휴를 발표하면서 LG u+ TV G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제휴를 뛰어넘은 여러가지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여파는 향후 IT서비스 플랫폼에서 새로운 경쟁구도가 그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여러가지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첫번째는 바로 Google의 TV전략 변화입니다. Google은 2010년 Google TV를 발표한 이후에, TV 광고 시장에까지 진출하여 자사의 검색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구글TV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으며, 1차 하드웨어 파트너로 같이 사업을 진행한 Logitech과 SONY에게도 부정적인 결과만을 안겨주었습니다. TV광고사업조차 금년 8월에 사업을 접었습니다. 그러나, 구글의 금번 2세대 TV전략은 1세대의 실패를 교훈삼아 철저한 제휴와 돌다리도 두들겨가며 건너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현재 구글 2세대 TV서비스는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에서 출시하고 있고, TV제휴업체 또한 삼성, LG, VIZIO를 비롯한 일류 하드웨어 벤더와 제휴하면서 조금씩 파트너 업체들을 늘여가고 있습니다. Google은 신규 비즈니스 일수록 작게 시작해서 성공사례들을 중심으로 천천히 확산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렇지만,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구글이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다는 것을 보여준 만큼, 구글은 "언제든 누구에게든 우린 열려있다."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보여줍니다.


  두번째는 TV산업 시장에서의 주도권 싸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TV사업자, 망사업자, 컨텐츠/외주사업자, IPTV/케이블 사업자까지 여러 사업자들이 방송시장을 두고 주도권 싸움을 해왔습니다. 최근 티브로드가 셋탑박스를 중심으로 스마트TV 사업을 시작했고, 이동통신 사업자들 또한 모바일을 방송의 다른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시도를 해왔습니다. 디지털TV로의 전환을 앞두고, 스마트TV라는 물건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서로 어떤 방식의 협력과 경쟁구도를 그려갈지에 대해 물 밑에서 고민만 하고 있던 차에 갑자기 LG U+가 Google과의 제휴를 발표하며 시장 판도를 바꿔버렸습니다. 즉, 스마트TV에 셋탑박스를 내장하지 않아도 연결만 하면 스마트TV가 되니 하드웨어 사업자는 이제 정말 기계만 만들어야 되는 셈이 되었습니다. 다른 사업자들도 구글와 U+의 컨텐츠를 합하면 10만개 이상의 컨텐츠를 실시간+VOD로 즐길 수 있게 되었는데, 태클을 걸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 자사의 플랫폼만으로 스마트TV 사업을 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왜냐하면, 구글TV는 앞으로도 구글나우를 비롯한 다양한 구글 서비스들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기 때문이죠. 더구나, 구글TV 출시국 중에 유일하게 우리 나라만이 IPTV/망사업자와의 직접 제휴를 통해서 구글TV를 출시한 국가입니다. 그만큼 이해관계자가 복잡한 시장에서 모든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했던 것입니다.


  세번째는 스마트TV를 스마트TV답게 변화시키고자 하는 변화의 모습입니다. 구글TV 김현유 상무는 이에 대해 강연에서 "기존에는 IT서비스 화면을 모바일 화면에 구겨넣으려고 했기 때문에 실패했지만, Full Browsing이 가능해지면서 웹다운 웹을 모바일에서 보여주는게 가능했다. 구글TV는 TV를 TV답게 할 수 있는 컨텐츠와 IT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TV에 가장 적합한 앱과 서비스에 대한 여러가지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그 중에 THUUZ란 대표적인 서비스가 있습니다. 미국에선 하루 동시간대에도 수십개의 스포츠 이벤트가 펼쳐집니다. 이 TV앱은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고, 가장 재미있고 흥미진진한 경기를 찾아내 점수를 매긴다음 사용자에게 시청할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해당 경기를 선택하면 바로 해당 채널로 이동을 하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10-0으로 지고 있는 8회말 야구경기보다는 4-3으로 역전을 거듭하고 있는 축구 경기가 더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즉, TV서비스는 TV에 가장 적합하게 만들어진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며, 구글은 이를 위해 YouTube의 동영상 화질을 HD급 이상으로 전환해서 구글TV 실현을 위한 인프라 투자 또한 탄탄하게 구축되어 있습니다.



Thuuz Sports

(사진출처 : Google Play)


  그렇다면, 구글 TV 2세대가 가져온 변화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는 IT와 TV의 결합은 반드시 그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IT인프라가 제대로 결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두번째는 모바일 시장의 주도권자가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컨텐츠 생산자가 되었던 것처럼, TV시장의 주도권자도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컨텐츠 생산자로 변화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모바일을 모바일답게 만들어 성공한 아이폰, TV를 TV답게 만들어 성공을 예고하고 있는 구글TV라는 비유가 낯설지 않은 시점이 올 것이란 겁니다. 구글TV가 여러분이 선호하는 채널, 컨텐츠 정보들을 기반으로 더 많은 클라우드와 엄청난 정보들을 만들어 낼 것입니다. 집 밖에서는 스마트폰이 우리의 정보를 수집하고, 집 안에서는 TV가 우리의 정보를 수집하는 개인화된 IT서비스의 변화가 새로운 혁신들을 가져올 것입니다.


  IT가 단지 모니터 속에만 있던 세상이 아닌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이제 TV 속으로도 한 번 뛰어들어 보는게 어떨까요?




Posted by 나모군



이번 작업은 담당하고 있는 부서가 우리 부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라서 더더욱 신경써서 작업을 해야했던 웹툰...


스마트하게 빌딩을 관리하는 일이 마냥 쉬운 일은 아닙니다.


빌딩은 커다란 센서들로 이뤄진 복합적인 IT 종합예술의 한 가지 장르라고도 볼 수 있죠.

SOC 부문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지키고 있는 우리 회사의 가치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분야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Posted by 나모군




Posted by 나모군